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전종서의 강렬함, 한소희의 절제미…2025 부산국제영화제 드레스 대조적 매력

반응형

전종서의 강렬함, 한소희의 절제미…2025 부산국제영화제 드레스 대조적 매력

레드카펫 위 화제의 투샷, 스타일은 엇갈렸다


2025년 제30회 부산국제영화제가 화려하게 개막한 가운데, 레드카펫의 주인공은 단연 전종서와 한소희였습니다. 절친으로 알려진 두 배우는 손을 맞잡고 나란히 등장해 플래시 세례를 받았고, 그 순간은 팬들에게 또 다른 ‘영화 같은 장면’이 되었죠. 하지만 스타일링 평가에선 극과 극의 반응을 불러일으켰습니다. 드라마틱한 전종서의 드레스와 미니멀한 한소희의 룩, 그 차이를 중심으로 뜨거운 관심을 모은 레드카펫 스타일을 짚어봅니다.


전종서, 바디라인의 정점을 보여준 ‘머메이드 드레스’

이번 부산국제영화제 개막식에서 전종서는 누드 톤의 머메이드 드레스를 입고 등장했습니다.

드레스 전체를 수놓은 플라워 자수와 비즈 장식이 조명 아래 빛나며 몸의 곡선을 따라 흘러내렸고, 과감하게 파인 하트넥 디자인과 드라마틱한 허리 라인이 시선을 압도했죠.

착용한 주얼리는 하이 주얼리 브랜드 **레포시(REPOSSI)**의 ‘세르티 수르 비드’ 컬렉션으로, 초록빛 원석과 체인 포인트가 전종서의 카리스마에 고급스러움을 더했습니다.


한소희, 실버 드레스로 선택한 우아한 미니멀리즘

한소희는 실버 톤의 루즈핏 드레스를 선택했습니다.
광택이 은은한 원단과 하프넥 디자인, 레이스 디테일이 있었지만, 스트레이트한 실루엣이 몸매 라인을 거의 드러내지 않아 상대적으로 ‘평범하다’는 평가를 받았죠.

특히 레드카펫이라는 화려한 무대 위에서는 과감한 스타일링이 부각되기 마련인데, 이번 선택은 오히려 “미모가 옷에 묻혔다”, “차라리 수트를 입었으면 낫겠다”는 아쉬움을 낳기도 했습니다.


스타일 대조표: 전종서 vs 한소희

항목 전종서 한소희

드레스 컬러 누드 베이지 실버
디자인 머메이드, 하트넥, 자수+비즈 장식 스트레이트 핏, 미니멀한 하프넥
포인트 바디라인 강조, 고급 주얼리 루즈한 실루엣, 절제된 우아함
평가 요약 “레드카펫의 베스트 드레서” “미모에 비해 드레스가 아쉽다”

한 장의 사진, 전혀 다른 존재감

두 배우가 함께 선 투샷은 마치 영화 속 장면처럼 아름다웠습니다.
하지만 스타일 측면에선 전종서가 훨씬 주목을 받았죠.

이번 드레스 선택은 단지 패션을 넘어, 각 배우의 이미지와 무드가 얼마나 큰 영향을 끼치는지 보여준 사례였습니다. 전종서는 강렬한 여성미와 주체적 분위기를, 한소희는 부드럽고 중성적인 아름다움을 드러낸 셈이죠.


전종서 드레스 논란 종결…골반뽕? 포토샵? 다 무의미

전종서를 둘러싼 골반뽕·포토샵 논란은 이번 드레스를 통해 ‘무의미’해졌다는 평가도 나옵니다.

촘촘한 플라워 자수, 바디에 착 감기는 머메이드 실루엣은 어느 각도에서 보아도 과장 없이 그녀의 몸선을 그대로 보여주었습니다. 특히 네티즌 사이에선 “이제는 의심이 무례한 수준”, “현실판 애니 캐릭터”라는 반응도 잇따랐습니다.


토론토→부산, 여전히 ‘절친 케미’는 완벽

한소희와 전종서는 지난 토론토 국제영화제에서도 손을 꼭 잡고 등장해 화제가 되었고, 이번 부산에서도 같은 포즈로 시선을 모았습니다.

시상식 룩에 대한 평가는 엇갈렸지만, 두 사람이 함께 있을 때 느껴지는 분위기, 케미는 여전히 “예쁜 애 옆 예쁜 애” 이상의 시너지를 만들어냈죠.


SNS 반응 요약

반응 유형 주요 내용

전종서 극찬 “레드카펫 씹어먹었다”, “골반뽕 논란 이제 끝”, “이게 진짜 드레스 핏이다”
한소희 아쉬움 “냉장고 원피스 같다”, “미모에 비해 의상이 너무 밋밋”, “레드카펫 룩으론 부적절”
절친 투샷 극호감 “둘이 같이 나오면 자동으로 레전드”, “비주얼 합 너무 좋다”, “동갑내기 절친 케미 최고”

정리하며

스타일은 엇갈렸지만, 전종서와 한소희는 올해 부산국제영화제 레드카펫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투샷을 만들어냈습니다.
강렬한 바디라인과 과감한 드레스로 완성된 전종서의 룩, 절제된 우아함으로 조용한 존재감을 보여준 한소희.
극명한 스타일 대조는 오히려 각자의 매력을 더 부각시키는 역할을 했고, 두 사람의 우정과 개성은 또 하나의 ‘영화 같은 장면’을 만들어냈습니다.

 

반응형